본 내용은 게임기획자되기 책 내용을 참조 하였습니다.
게임 기획자에게 필요한 기술
"게임 기획을 하려면 뭘 할 줄 알아야 해요?"
이것저것 다 할 줄 알면 좋지.
"아니, 그런거 말구요. 회사에서 사람을 뽑을 때, 뭔가 뽑는 기준이 있을거 아녜요. 이런 거 할 줄 아는 사람 등등"
똑똑하고 창의력이 있어야 하지.
"아니, 처음에 신입 뽑을 때, 창의력이 있는지 똑똑한지를 어떻게 구별해요."
뭐, 그거야 그렇지. 그건 좀 굴려봐야 알지.
"그럼, 선배가 만약 신입을 뽑는다면 '제발 이것만은 좀 할 줄 알고 와라.' 라는 거 있어요?
음.. 없지는 않은데...
게임 기획자에게 유용한 기술
그렇다면, 게임 기획자로 취업을 하려면 뭘 할 줄 알아야 할까?
회사에서 말하는 자격 요건들은 단순하면서도 막연한 조건들이다.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어느 회사나 '적극적이고 창의적이며 진취적인 인재'를 뽑고 싶어하며, 이러한 인재는 굳이 게임 회사, 게임 기획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사람 구할 때는 항상 바라는 바이다.
누구나 당연하게 알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기술은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의 오피스 3종 세트를 능숙하게 다루는 것이다.
워드, 제대로 익혀서 써먹자
서식 메뉴, 문서 서식 등 명확하게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서식 메뉴를 잘 활용해서 글자의 모양, 크기, 행간 등만 잘 써도 훨씬 가독성이 좋은 문서를 만들 수 있다. 문서의 가장 큰 목적은 '읽혀지는 것'이다.
문서 서식을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문서 서식을 만들어 놓으면 문서를 보는 사람들도 문서를 관리하는 사람들도 꽤 편해진다.
엑셀, 중요한 도구
엑셀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아주 유용하다.
엑셀을 쓰는 기본적인 이유는 데이터 관리를 위함이다. 가장 훌륭한 장점은 행과 열로 구성된 스프레드시트라는 것이다.
엑셀에서 매크로를 쓸 수 있드면 여러 가지로 편리하다
데이터 관리의 연장인데, 굳이 매크로를 쓸 줄 몰라도 모두 한땀한땀 다 할 수 있는 일들이지만 참고해야 하는 파일들이 한 두 개도 아니고, 다뤄야 하는 데이터들도 수 백 개이기 때문에 매크로를 사용한다면 하루 걸릴 일을 5분만에도 끝낼 수 있게 된다.
문서 툴 외의 그래픽 툴도 다룰 줄 알아야 한다.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페인터 등의 그래픽 툴 하나 정도는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문서를 글자만으로 구성할 수는 없기에 필요한 그림들을 넣거나 수정하기에도 쓸모가 많지만, 그래픽팀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 레이어의 개념은 꼭 알아둬야 한다.
추가적으로 3ds max나 스케치업등의 모델링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다면 도움이 많이 된다.
Flow Chart......
플로 차트는 다른 말로 '순서도'라고도 하는데, 발생하는 일과 조건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일종의 '표'이다. 데이터들의 흐름과 기준을 판단해야 하는 시점에 대해 한 눈에 설명하기에도 좋고, 자신이 세운 계획의 수정과 약점들을 파악하기에도 유용하다.
게임 기획자에게 필요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게임 개발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어야 하는 기본적인 기술들이 대부분이다. 게임 기획자들에게는 툴 하나를 다루는 것보다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훨씬 중요하고 여러 가지 도구를 다루는 기술들은 모두 그 생각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게임기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기획학원] 게임기획자 공개 채용 편 (0) | 2017.05.09 |
---|---|
[게임기획학원] 게임 기획자 되기 // 다른 분야에서 인정 받아라. (0) | 2017.05.08 |
[게임 기획자 되기] 게임 회사 다니기 좋아요?? (0) | 2017.05.05 |
게임개발자, 게임기획은 어떤것일까요?? (0) | 2017.04.20 |
부산게임기획학원, 도봉순에서 나온 게임기획 ?? 어디서배우죠?? (0) | 2017.04.18 |
WRITTEN BY
- 커피김스타
게임 기획, 개발, 프로그래밍, 그래픽, zbrush, 원화, 캐릭터 등등 다양한 정보공유